스마트농업 시장 규모 ’25년 220억 달러 전망


스마트농업 시장 전망을 알아보며 스마트팜 전망도 같이 확인해 보았습니다. 해외 사례를 살펴보며 우리나라 미래농업을 예측하고 농업이 성장산업이 된다면 어떤 분야가 더 많이 성장할 것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스마트팜이라는 성장산업 초기 진입 가능성도 알아 보겠습니다.


글의 순서


스마트농업 글로벌 시장동향

스마트농업 시장은 연평균 9.8% 성장하여 ’20년 137억달러 → ’25년 220억 달러(약 24.6조원)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MarketsandMarkets, 2020, 노지농업, 축산, 시설원예 및 수산양식을 포함하며, 유통/물류는 미포함)

글로벌 스마트농업 시장규모
글로벌 스마트농업 시장규모
구분2020년2025년연평균증가율
스마트농업 전체1372209.8%
스마트 노지농업7012812.7%
스마트 시설원예14219.2%
농업용 드론125735.9%
자율주행 트랙터6.54424.0%
스마트농업 글로벌 시장규모 전망 (단위 : 억달러)

  • 동기간 스마트농업(시설원예) 시장은 14억달러 → 21억달러로 성장하고, 스마트농업(노지) 시장은 70억달러 → 128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MarketsandMarkets, 2020)
  • 노지농업 분야의 경우 자율주행 트랙터와 농업용 드론 시장이 급성장하여(각각 연평균 24.0%, 35.9%) 스마트농업의 큰 축을 이룰 것으로 전망됨(MarketsandMarkets, 2020; Allied Market Research, 2018)
  • 글로벌 시장규모 전망에 따르면 노지농업의 비중이 시설농업에 비해 훨씬 크며, 농업용 드론 및 자율주행 트랙터 시장이 스마트농업(시설원예) 시장규모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주요국 산업동향

미국

글로벌 기업들의 합종연횡 및 벤처캐피탈/빅테크 기업들의 투자 확대로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의 처방식 농업이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파종, 비료/농약 투입, 수확 등 영농의사결정을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이 처방하는 수준)

  • 전통적 농업 분야의 대기업들은 농업 분야의 인공지능, 데이터 관련 스타트업을 인수하여 데이터 플랫폼 기업으로 전환하여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영농의사결정 지원 서비스를 운영
  • 사모펀드, 벤처캐피탈 및 MS, Google 社 등 빅테크 기업들은 스마트농업 분야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빠르게 늘리고 있음
  • 스마트농업 및 어그테크(AgTech)분야 투자는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 소프트웨어, 로보틱스・농기계 분야를 중심으로 최근 10년(’10~’19)간 연 24.5%씩 빠르게 증가
  • 관리의 편리성과 생산성 증대를 제공하는 스마트농업 서비스는 빠르게 보급되어, 현재 미국 전체 농업인의 약 60%가 1~2개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 중
기업내용
John Deere
(존디어)
⦁DN2K, Blue River Technology 社를 각각 ’15년, ’17년에 인수하여 정밀농업 데이터
기반 최적 파종 처방 서비스 등을 상용화
Monsanto
(몬산토)
⦁빅데이터 기업 Climate Corporation 社를 인수하였고(’13), 날씨・작황 데이터 분석을
통해 영농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클라이밋 필드뷰(Climate FieldView) 서비스를 운영
Cargill
(카길)
⦁자사의 강점(사료)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기반 최적 가축 사양 플랫폼 피딩 인텔리전스
(Feeding Intelligence) 서비스를 출시함
DowDuPont
(다우듀폰)
⦁그래뉼라(Granular) 서비스를 통해 위성사진 기반의 작황 모니터링 및 의사결정 지원
기능을 제공
미국 대기업들의 스마트농업 진출 사례

유럽

시설 고도화에 따라 채산성 확보를 위해 농장이 대규모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시설농업 선도 기업들이 세계에 장비 및 운용 플랫폼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 네덜란드
    세계 2위 농산물 수출국으로, 스마트 시설원예 선도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농장의 대규모화와 첨단 기술 집적으로 생산량・효율성을 극대화함
    – Priva, Hortimax 社 등은 환경제어 장비 및 제어 솔루션을 공급하며, Certhon, Dalsem 社 등은 전 세계를 상대로 턴키(turn-key)방식의 첨단 온실을 시공
    – 채소 농장 당 평균 재배면적은 1980~2017년 사이 약 7배 증가하여(총 재배면적은 유지) 40,000 m2에 달하며, 면적당 생산량 및 물사용 효율성이 매우 우수함
    ※ (면적당 토마토 생산량, 톤/ha) 네털란드 507 vs. 한국 65.5
    (면적당 물 발자국, 갤런/파운드) 네덜란드 1.1 vs, 세계평균 25.6
  • 독일
    네덜란드와 같이 농장의 대형화 추세가 뚜렷하며, 기계・자동차 분야 기술력을 기반으로 노지 스마트농업 장비・설비 및 데이터 관리 솔루션 산업이 활성화
    – Bosch 社는 스마트 노지농업 기계・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으며, Deepfield Robotics 社를 설립하여 센서기술 기반의 스마트농업(노지, 축산 등) 시스템을 상용화함
    – 단, 농촌 지역의 네트워크 인프라 보급률이 낮아(1.4%) 스마트농업 확산에 한계 존재
  • 이스라엘
    좁은 국토 면적과 척박한 기후 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관수・관개 분야 등을 중심으로 기술 집약적 농업이 발달, 전체 농가 중 스마트 관개시스템 보급률이 75%에 달하며, 발정감지 센서 등 첨단 스마트 축산(낙농 중심) 기술로 젖소 마리당 우유 생산량은 세계 최대 수준임
  • 일본
    노지・시설농업 전반으로 스마트농업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효율성 및 부가가치 제고 사례가 창출되고 있음
    –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팜(Fujitsu, Seraku 社 등), 축산・낙농 정밀관리 솔루션(Farmnote 社) 등이 상용화되어 있으며, 식물공장의 경우 Spread 社 등 잎채소 재배 분야가 활성화됨
    – 노지농업 분야는 기존 농기계 및 일반 기계 분야 선도기업이 주도하여 상용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드론 정밀살포를 이용한 底농약 산물을 고부가화하는 등의 산업화 사례가 창출됨
    ※ Kubota 社는 빅데이터 기반 영농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 KSAS(Kubota Smart Agri System)을2014년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2018년 기준 이용 농가 수는 6,000 농가임
  • 중국
    풍부한 자본을 바탕으로 글로벌 선도 기업들을 인수하고 있으며, Alibaba, Tencent 社 등의 IT기업과 기존 농업기업의 협력이 확대되고 있음
    – 중국은 식량안보 확보 및 농산물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영기업을 통해 이미 완성된 농업 기업을 인수하여 기반기술 및 빅데이터를 획득하고 있음
    – 중국 IT기업과 지자체 및 기존 농업기업의 협력 사례가 지속 발생하고 있으며, 데이터 이용에 호의적인 중국 정부와 14억 명의 인구가 생산하는 빅데이터의 시너지 효과로 중국의 스마트농업은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됨
    (JD.com-베이다황그룹 스마트팜 조성 협약(’18), Alibaba-헤이룽장성 농업 스마트화 추진전략적 협약(’19), Tencent-뉴호프그룹 디지털 농업기업(Xinteng Shuzhi 社) 공동출자)

국내 스마트농업 산업동향

국내 스마트농업 시장규모는 ’20년 기준 5.4조원 규모로 연평균 8.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글로벌 시장(9.8%) 대비 다소 낮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합니다. 글로벌 시장과 비교했을 때 스마트팜(시설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편이며, 이는 농지면적이 작아 시설농업의 비중이 높은 국내 농업 상황을 반영한 전망입니다. 지능형 농작업기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식물공장이 시장 규모는 작으나 성장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국내-스마트농업-시장규모-전망
국내 스마트농업 시장규모 전망

정부 주도 보급

그간 정부 주도로 개발된 기술이 시설원예 위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나, 高비용이라 대형 농가 위주로 도입되고 있으며 과잉생산 우려도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정부 주도로 개발된 1세대 스마트팜(시설원예, 축사)이 기존 온실 및 축사 시공업체와 무선통신기업(SKT 등)의 협력 등을 통해 보급되고 있으며, 농식품부는 보조금을 지원하여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18년 기준 시설원예는 4,900ha, 축산 1,425호의 스마트팜이 보조금 사업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현재 보급 중인 스마트 시설원예 설비는 초기 투자비용 및 유지비가 높으며, 소규모로 구축할 경우 수익성 확보가 어려워 대다수의 소규모 농가는 도입이 어렵다고 봐야 합니다. 또 같은 작물(토마토, 파프리카, 딸기 등)을 스마트팜으로 생산하여 스마트농업으로 인한 과잉생산으로 가격 폭락을 초래할 우려도 존재합니다.

설비/장비 기업 중심

시설원예 설비・장비 기업을 중심으로 스마트농업의 현장 보급이 수행되고 있으며, 스타트업들은 민간 투자를 유치하여 자체 기술・제품을 개발 및 출시하여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설원예 자동화 온실 시공업체 등 설비・장비 기업은 공공(농진청, 대학, 출연연) 연구성과의 기술이전 또는 공동개발을 통해 개발된 성과를 민간에 보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나래트랜드, 그린씨에스, KT, 유비엔, 신한에이텍 등이 있으며, 무선통신사들은 자사의 LTE나 5G망을 이용하여 직접 또는 기존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팜 산업에 진출 중)

스마트농업 전문 스타트업들은 설비, SW, 데이터 플랫폼 및 자체 농산물 판매를 영위하며, 이들에 대한 벤처캐피탈 및 사모펀드의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스마트농업 기업 투자 유치 사례
스마트농업 기업 투자 유치 사례

노지농업 분야는 기존 농기계(트랙터 등) 기업 및 스타트업이 존재하지만, 아직 스마트 기술 도입의 초기 단계로 산업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파악됩니다. 대동공업, 동양물산(TYM), LS엠트론 社 등에서 트랙터, 이앙기 등 농기계를 공급해왔으나, 자율주행・작업 등 스마트 노지농업 기계・설비는 아직 대부분 연구 단계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종합적 스마트 노지농업 플랫폼 등의 개발은 아직 연구개발 단계로 국내 기업이 상용화한 사례는 없습니다.

마무리 정리

글로벌 스마트농업 시장은 년 10% 수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는 다른 산업에 비해 높은 성장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스마트농업 사례는 노지농업과 노지농업에 필요한 자율주행 트랙터, 농업용 드론 등이 빠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스마트팜(시설원예)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아직은 정부 지원 사업이 주도하고 있으나 스타트업 기업들의 빠른 성장이 스마트팜의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들
국내 노지농업과 시설농업 스마트화 글로벌 5년 격차
스마트농업 기술 동향과 미래농업 2가지
스마트팜 분류 방법으로 알아 본 기술 3단계
스마트팜 이란, 한국형 스마트팜 추진 과정 3단계


Leave a Comment